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오늘은 강아지에게 꼭 먹여야 하는 좋음 음식을 알아보겠습니다

강아지에게 좋은 음식 


# 브로콜리

브로콜리는 비타민 함유량이 높아 면연력 중가에 도움이 됩니다

항암, 해독작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물에 살짝 데쳐 주시면 좋습니다.

항산화 물질과 다량의 칼슘 함유 골다공증, 암, 심장병 예방 브로콜리(broccoli)는 겨자과에 속하는 짙은 녹색채소로 '녹색 꽃양배추' 라고도 불린다.

브로콜리는 샐러드, 수프, 스튜 등 서양음식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채소 중 하나다. 

11월부터 4월까지가 제철이지만 요즘은 사철 구별 없이 먹을 수 있다.

브로콜리를 구입할 때는 송이가 단단하면서 가운데가 볼록하게 솟아올라 있으며 줄기를 잘라낸 단면이 싱싱한 것을 골라야 한다. 

꽃이 핀 것은 맛과 영양이 떨어지므로 꽃 피기 전의 브로콜리를 골라야 한다.

줄기의 영양가가 송이보다 높으며 특히 식이섬유 함량이 높으므로 버리지 말고 먹도록 한다.

조리할 때는 브로콜리를 소금물에 30분쯤 담가 송이 속의 먼지와 오염 물질을 제거한 후 끓는 물에 줄기를 먼저 넣고 송이를 나중에 넣어 살짝 데치면 색이 선명해지고 씹히는 맛을 살릴 수 있다. 

줄기와 송이를 함께 데치거나 볶으면 고르게 익지 않는다.

브로콜리를 물에 넣고 가열하여 조리하면 비타민 C, 엽산, 일부 항암물질이 파괴될 수 있으므로 찌거나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것이 좋다. 

브로콜리를 기름에 볶거나 기름이 포함된 드레싱을 곁들여 먹으면 비타민 A의 흡수력이 높아진다.

브로콜리에는 비타민 C, 베타카로틴 등 항산화 물질이 풍부하다. 

베타카로틴은 비타민 A의 생성 전 단계 물질로 항산화 작용을 가지고 있는 미량 영양소이다. 

항산화 물질은 우리 몸에 쌓인 유해산소를 없애 노화와 암, 심장병 등 성인병을 예방한다.

브로콜리에 함유되어 있는 다량의 칼슘과 비타민 C가 골다공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 

브로콜리 100g에 비타민 C가 98㎎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레몬의 2배, 감자의 7배에 해당하는 양이다. 

따라서 브로콜리 두세 송이면 하루 필요한 비타민 C를 섭취할 수 있다.

일명 '꽃양배추'라고도 하는 콜리플라워(cauliflower)는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며, 우리나라에는 1926년 무렵에 도입되었다. 

양배추보다 연하고 소화가 잘 되는 채소이며, 백색이 주류이지만 자주색이나 오렌지색인 품종도 있다. 

제철은 가을부터 다음해 이른 봄까지인데, 가을부터 겨울까지 특히 맛이 좋다.

브로콜리와 콜리플라워는 평지에서 자라는 채소로 항암 작용이 강한 유황화합물이 풍부하게 들어 있다. 

유황화합물은 발암 물질의 활성화와 암세포 증식을 억제한다.


# 당근

비타민 A와 E와 칼슘이 품부하며 코 건강과 시력에 좋습니다

대부분의 강아지들이 좋아하는 음식이며 모질 애선에도 좋습니다

네덜란드를 대표하는 식물 당근 뿌리에는 비타민 A와 비타민 C가 특히 많고, 박하 향이 물씬 풍기며, 

맛이 달달하다. 

영양소도 아주 다양하여 당, 단백질, 섬유소가 각각 1퍼센트고, 0.2퍼센트의 지방에, 무엇보다 3퍼센트의 베타카로틴(β-carotene)이 들었으니 귤·호박·고구마 등 다른 과일이나 채소들이 오렌지색인 것은 모두 이 때문이다. 

특히 베타카로틴은 비타민 A 전구물질(provitamin A)로 우리 몸에서 비타민 A로 바뀐다. 

이것이 부족하면 야맹증에 걸린다.

당근에서 뽑은 카로틴 색소를 사료에 넣어 송어 등의 물고기의 살 색깔이나 달걀 노른자를 물들이기도 한다. 

또 당근을 많이 먹으면 피부색이 노랗게 변하니 이를 황색소증(黃色素症, carotenosis)이라 하는데, 얼굴이나 손바닥까지 누르스름하게 바뀐다. 

귤도 매한가지로 생리적으로 큰 탈이 없이 시간이 지나면 시나브로 사라진다.

그러나 과식하면 뇌압이 높아져 두통과 구토를 유발하는 비타민 A 과다증(hypervitaminosis A)에 걸리기 쉽다. 

또한 유럽 사람 중 3.6퍼센트가 당근 알레르기가 있다고 한다.

당근의 카로틴은 항산화제로 작용하고, 직장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며, 폐경 후에 많이 생기는 유방암을 줄이고, 노화에 따른 눈의 황반변성(macular degeneration)이나 백내장(cataract)의 위험도 줄인다. 

이른바 식약동원(食藥同源)이라고, 약이 아닌 식품이 없다.


# 계란 노른자

영양분이 많은 무알레르기 식품으로 체력 향상과 감기, 구토에 좋습니다.

특히 출산을 한 어미견의 젖의 양을 증가 시키는데 좋습니다.

달걀 무게 중 유체가 33%를 이룬다. 

약 60 칼로리이며 이는 달걀 흰자 칼로리 양의 3배이다.

큰 달걀 (50g)의 노른자는 약 2.7그램의 단백질, 210 밀리그램의 콜레스테롤, 0.61 그램의 탄수화물, 4.51 그램의 

총 지방을 포함한다.


# 고구마

고구마는 췌장염 , 면연력 강화 , 피로회복 , 비민 , 심장병에 좋습니다.

어린 강아지는 그냥 주시는 것보다 말려서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고구마의 어원은 쓰시마섬의 '코코이모'에서 유래함. 남방에서 도입되었다는 의미의 남저, 북방에서 들어왔다는 의미의 북서. 고구마는 메꽃과에 속하는 쌍떡잎 식용작물이다. 

우리가 식용으로 사용하는 부분은 뿌리로, 보통 가는 뿌리, 굳은 뿌리, 덩이뿌리로 구분되며 가는 뿌리는 비대하지 않은 뿌리이고 굳은 뿌리는 약간 굵어지기는 하나 더 이상 자라지 못하며, 덩이뿌리는 정상적으로 굵어져서

 고구마가 되는 뿌리이다.

고구마의 원산지는 중앙아메리카이며, 주로 아시아에서 재배되고 있다. 

고구마는 온대에서는 일년생이지만 열대에서는 숙근성(宿根性)으로 분류된다.


# 연어

연어는 모질개선 , 알러지 반응 , 관절 민 면역력 강화에 좋은 음식입니다

강아지에게 좋지만 익혀서 주시기 바랍니다.

EPA, DHA 등 오메가-3 지방산 함유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병, 뇌졸중 등 혈관 질환 예방 연어(salmon)는 연어과에 속하며 몸길이가 70㎝ 정도로 등쪽은 담청색이고 몸의 아래쪽은 은백색이다. 연어는 동양인보다 

서양인이 더 좋아하며, 특히 독일, 네덜란드 등 라인 강 주변국 사람들은 연어를 최고의 

미식(美食)으로 꼽는다. 

최근에는 우리나라에도 연어 애호가가 급증하고 있다. 

연어는 소화, 흡수가 잘 되므로 어린이, 노약자, 환자에게도 좋다.


# 닭가슴살

단백질 함유량이 높아 기력 보충 및 설사할때  좋다고 합니다

특히 운동이 부족한 강아지의 근력을 강화 시키는데 좋습니다


- 탄수화물 : 0g

- 단백질 : 22.97g

- 지방 : 0.97g

- 당류 : 0g

- 나트륨 : 45mg

- 콜레스테롤 : 56.11mg

- 포화지방산 : 0.36g


#두부

두부는 강아지의 단백질 보충에 좋다고 합니다.

체내 흡수력이  높아 영양섭취와 장염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습니다.

두부의 성분은 가식부 100g당 84㎉, 수분 82.8%, 단백질 9.3g, 지질 5.6g, 회분 0.9g, 당질 1.4g, 섬유소 0.2g, 칼슘 126㎎, 인 140㎎, 철 1.5㎎, 나트륨 5㎎, 칼륨 90㎎, 비타민B1 0.03㎎, 비타민B2 0.02㎎, 나이아신 0.2㎎로 이루어져 있다.


# 북어

강아지에게 가장좋은 보양식인 북어이며 혈액을 맑게 해준다고 합니다.

명태(생태)를 완전히 건조시킨 것을 북어라고 부른다. 

우리나라 동해안 일대에서 잡은 명태를 겨울 동안 얼렸다 녹혔다를 반복하며 겨울 찬바람에 완전히 건조시켜 북어로 만든다. 

명태를 건조시키는 곳을 덕장이라고 부르는데 강원도 인제군 용대리의 덕장(인제용대리황태덕장)이 유명하다.

건조된 북어가 누런색으로 말린 것을 특별하게 '황태'라고 부르기도 한다.

북어는 예로부터 포(脯)라고 불러 제상에 빠져서는 안될 품목이었으며, 집안의 복(福)과 안녕을 비는데도 북어를 사용했다. 

북어를 실에 감아 집안 대들보에 묶어 두거나 출입하는 문틀 윗부분에 걸어 두기도 하였다. 또한 마을 어귀에 있는 장승이나 기자석 솟대 등에도 걸어두었다. 

북어는 완전 건조되어 상할 염려가 없었기 때문에 냉장시설이 없었던 근대까지 최고의 생선식품으로 취급되었다. 

동해안에서 생산된 북어는 전국으로 팔려나갔으며, 화폐 대신 물물교환으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북어로 만드는 음식 중 대표적인 것은 북엇국이며, 북어를 잘게 찢어 양념에 버무려 저장음식으로 먹기도 하였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